[성사꾼의 주식스쿨]

[성사꾼의 주식로직] 챕터5 과제

bestFinanceDataAnalyist 2024. 9. 27. 23:27

📚 Chapter5_거시경제 학습하기

 원-달러 환율 관계 - 주식관계 : (대부분)반비례

유가-환율: 유가가 오르는 경우 경제가 호황, 환율은 반대

✅ 금리-주가: (대부분) 금리가 낮으면 주식투자 더 적극적!

금값 -주가: 금은 안전자산 ! 주식은 상대적으로 비안전자산

채권 -금리: 채권 안전자산! 금리는 역의 관계

 

 


📚 Mission1 -  원-달러 차트 해석

 

1. IMF 경제 위기 (1997년)

  • 배경: 외환 부족으로 IMF에 자금 지원을 요청.
  • 환율: 정부의 외환 투입에도 불구하고 원-달러 환율은 급격히 상승해 900원대에서 2000원대로 증가. 반대로 코스피는 외국 자본 유출로 하락

2. 미국 9.11 테러 (2001년)

  • 배경: 미국 뉴욕시 북쪽 타워 아메리칸 항공 11편 충돌. 세계적인 큰 불안감으로 경제 불확실성 >> 안전 자산인 달러 수요 증가. 
  • 환율: 안전시장의 비중을 높이고자 달러 수요 증가로 환율 상승.

3.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2008년)

  • 배경: 9.11 테러 이후 저금리 지속 > 부동산 호황기 + 금융권 대출 많이 함 > 부실 진행  주택 가격 버블 붕괴 + 금융기관 도산
  • 환율: 경제 불확실성 다시 증폭. 정부측에서 시장 경제 활성화를 위해 돈 품 > 달러 가치 하락

4. 리먼브라더스 파산 (2008년)

  • 배경: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대출금 받지 못함)로 대규모 금융 위기 발생 > 국제 경기 침체
  • 환율: 불안감으로 달러)안전자산) 선호도가 증가해 환율 상승. 외국 자본 이탈로 코스피는 하락

5. 코로나19 시기 양적 완화 (2020년)

  • 배경: 코로나 19 이후 전 세계 적인경기 침체 우려로 연준이 기준 금리 낮춤.  대규모 돈 풀기(양적 완화)를 단행. 저금리 유지 >> 경제 위기를 막기 위해 유동성 중폭
  • 환율: 저금리 정책으로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면서 환율 하락. 외국인 자본 투자금 유입으로 증시 상승

6.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정책 (2023년)

  • 배경: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고금리 정책.. 금리동결을 멈추고 연준이 기준 금리를 5.5%로 인상.
  • 환율: 금리 인상으로 환율 상승. 주식 부동산보다 안전자산 선호도 증가 > 시중에 풀린 돈 다시 돌아감 > 환율 올라감
  • 코스피: 외국 자본 감소로 인해 지수 하락.

 

📚 Mission2 - 10년물 국채금리 차트 해석

 

 

1. 코로나19 시기 양적 완화 (2020년)

  • 배경:  코로나 19 이후 전 세계 적인경기 침체 우려로 연준이 기준 금리 낮춤.  대규모 돈 풀기(양적 완화)를 단행. 저금리 유지 >> 경제 위기를 막기 위해 유동성 중폭
  • 결과: 저금리 정책으로 미국 10년물 금리 하락. 주식 및 투자 상품에 자금 유입

 

2.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정책 (2023년)

  • 배경: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연준이 기준 금리를 5.5%로 인상.
  • 환율: 금리 인상으로 환율 상승. 고금리로 인해 시장의 유동성 감소 및 주식 시장 투자 심리 위축 >  안전자산 채권 매수
  • 결과: 외국 자본 감소로 인해 지수 하락.

 

 

Chapter5 공부하면서 2주차까지 복습한 것 가탕서 뿌듯,,,,

퇴근하고 유튜브보다 전자책 먼저 킨 내자신 뿌듯...... 담주엔 전자책 하 호다닥 읽어봐야지

성사꾼님 항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