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하던 채용 연계형 면접에 떨어지고 다시 심기일전하며 공부 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교육을 들으며 금융 말고 정말 내가 하고 싶은 디지털, 데이터, AI에 대해 꾸준히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이 카테고리 모든 내용의 무단 배포는 금지하며 저작권 문제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부족한 부분이 많을 수 있으니 이해 부탁드립니다!
리눅스?
오늘은 리눅스를 배워보았습니다. 리눅스,,, 정처기에서만 보았는데요 .... 사실상 window 같은 서버 시장의 운영 체제라고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리눅스의 가장 큰 장점은 컨테이너, 클라우드, 보안 등 모든 유형의 작업이 가능하며 오픈소스로 배포가 된다는 점이 가장 장점인 것 같습니다
리눅스 설치는: virtual box, unbant를 우선 설치해주면 됩니다
설치 후 window에 쓱 보입니다
우선 4가지 기본 포트만 열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터미널에 연결하면
- id: 계정정보 / uname - a : 서버정보
- 업데이트: sudo apt- get update / apt-get upgrade
- 서버포트 4개 오픈: ssh:22 / web:80 8000 / dns:53 / mysql:mariaDB: 3306
- ufw allow 22
- 가상머신에서 포트(NAT: 포트와 포트를 연결)
- 다시 vitrtual box 들어가서 tcp/ip 설정
이후 리눅스 서버가 정상적으로 열려있는지 확인해봅니다.
ip 확인 : cmd(이더넷 5 가상 서버입니다)
이후 리눅스에서 간단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기본 명령어 4가지만 소개해드리겠습ㄴ디ㅏ.
su - : root 돌아가기
ls: 파일에 어떤 명렁어들이 있는지 <> window: dir
mkdir: 폴더 만들기
cd : 경로 이동
간단하쥬~!
이제 리눅스에서 DB설치를 해보겠습니다. 결국 인공지능 뿐만 아니라 DB연결, 프레임워크를 통해 앱.웹개발을 통해 서비스 실현을 해야 전문성이 올라가니까요!
리눅스에서 db설치
- 데이터베이스 설치: 서버에서 데이터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apt install mariadb-client @ai123 비번
- apt install mariadb-server
- 시스템에서 마리아디비 잘 돌아가는지 확인 : 버전은 10.6
- systemctl status mariadbl / 시작은 start 정지는 stop 누르면
- DB접속: mysql -u root -p / 비번: (사용자 원한는대로) * 리눅스 서버는 비밀번호 입력해도 안보입니다. 당황하지 마세요 ㅎㅎ 그래서 더욱 까먹으시면 안됨니다.
- 데이터 베이스가 무엇있는지 확인하는 명령: show databases;
- 데이터베이스 생성id: netflix /database: netflixdb / pw: / create database netflixdb;
- 파일저장mysql 사용 하기: use mysql;
- 기존 4개중에 하나 선택
- netflix의 데이터 8799개의 데이터베이스 저장(KAGGLE 활용)
짠 이제 제가 만든 netflixdb가 생성되는 걸 보일 수 있습니다
이제 데이터베이스 권한을 주겠습니다. 다른 분이 제 db를 들어오셔서 뭔가 할 수 도 있으니 ㅎㅎ
- 만들어진거에 권한 주기 / local에서 접속해본 것 하나, 원격으로 들어온거 하나
- create user ‘netflix’@’%’ identified by ‘@ai1234’;
- create user ‘netflix’@’localhost’ identified by ‘@ai1234’;
-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 사용자 권한 부여
- grant all privileges on netflixdb.* to ‘netflix’@’%’;
- grant all privileges on netflixdb.* to ‘netflix’@’localhost’;
- 데이터 권한 원료
- flush privileges;
- 외부 접속을 위한 마리아디비 port열기
- nano / etc/mysql/mariadb.conf.d/50-server.cnf
다음은 db에 연결을 시켜보겠습니다. 우선 mysql workbench를 연결해줍니다
- 데이터 접속할 때: mysql -u netflix -p netflixdb (서버는 이 명령어를 통해 접속할 수 있고요)
- workbench접속 : + 누르시고
눌러줍니다. hostname, port등은 본인의 컴퓨터로 확인하세요~!
이렇게 하면 workbench에서도 확인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I & DX 전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읽기]21주차 (5) | 2024.09.14 |
---|---|
[6일차] 생성형 API... 요샌 CHATGPT 다 있다 (0) | 2024.05.24 |
[4일차] 3일차에 이어서 ...!! (0) | 2024.05.23 |
3일차 Pyqt로 웹 크롤링을~?! (1) | 2024.05.16 |
[2일차] Python 끝~ pyqt시작~ (0) | 2024.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