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목: 고공행진 금값.. 금 EFT 통장으로 수익 절세 다 잡는
기사요약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금 투자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미국 대통령 선거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금값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금은 이자가 없는 자산이기 때문에 금리가 낮아질수록 투자 매력이 올라간다. 시장에서 9월 달 미국 금리가 인하할 경우를 100%에 육박한다고 보고 있다. 다만 금 가격이 가파르게 오른 만큼 단기 조정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금 투자 전망은 직접적인 금덩이를 사는 것 뿐만 아니라 금 ETF, 시중은행의 금 지갑 등이 있다. 요샌 투자 수익에 대한 양도소득세가 붙지 않는 ETF가 장점이라고 한다.
용어정리
ETF(Exchane Trade Fund)
상장 개방형 펀드. 주로 주가 지수나 채권가 지수 등 특정 지수를 추종하여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펀드다
나의생각
트럼프 전 대통령과 해리스 후보의 전면전이 시작되면서 경제상황도 불확실하게 흘러가고 있다. 다만 바이든과 경쟁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매우 우세했기 때문에 금리인하에 힘이 많이 쏠린 것 같다. 또한 금을 직접 사는 거 외에 ETF나 시중은행의 지갑 서비스가 인기있는 것도 신기했다. 금은 변동성이 크지 않고 무거운 자산이라 투자해본 적이 없는데 이번에 조금 떨어진다면 고려해볼만 한 것 같다. 다만 미국 금리시장 인하는 확정이 되고 있으나 한국은 개인 대출 비중이 늘어나고 있고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9월 달 금리 인하는 바로 어렵지 않을까 싶다..
기사제목
AI주 고점론 스멀스멀…조정 VS 매수 기회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72846271
'AI주 고점론' 스멀스멀…"조정" VS "매수 기회"
'AI주 고점론' 스멀스멀…"조정" VS "매수 기회", 반도체·전력株 놓고 전망 분분한 증권가 하이닉스 호실적에도 목표가 줄줄이 낮춰 "HBM 공급과잉 우려" LS일렉 눈높이도 하향 일각선 "하락은 과도
www.hankyung.com
기사요약
인공지능 AI 회의론이 불거지며 미국 반도체주 주가가 급락하였고 국 내 증권가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다만 투자증권사의 ai주 평가는 엇갈렸다. SK 하이닉스 호실적에도 목표가가 줄줄이 낮춰, 공급과잉의 우려의 목소리를 표했지만 일각선에는 하락은 과도기로 인한 상황이며 ai 의 성장세는 여전히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조선/바이오 등 일부 섹션에 대해 호실적이 예고된 상품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나의 생각
22~23년도가 2차전지에 해였다면 올해는 AI 주의 해인 것 같다. 생성형 ai가 활성화되고 일반인들의 사용이나 openapi키 사용도 자유로워지면서 AI의 시장이 계속 상승세였던 것 같다. 다만 AI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해가고 있으나, 투자 자체에 대한 고점은 맞는 것 같다.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LS일렉트릭 등 AI관련 주가 7월 주가 등락률만 10% 하락세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성형 AI 관련 기업이 속출하고 LLM, RAG 모델등 계속 발전해나가는 모델이 많으므로 AI시장은 앞으로 더 발전할 것이란 생각에 동의한다.
기사제목 : 분양가는 치솟고 당첨 어렵고,,, 청약통장 해지할까요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72845811
기사요약
무주택 가구의 내 집 마련 셈법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다. 서울 집값이 18주 연속 상승하며 분양 경쟁률은 지난해의 세 배 수준으로 치솟았고, 높은 분양가에 과열 경쟁까지 겹쳐 '청약 무용론'으로 선회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음달 9월부터 청약통장 최대 납입 인정액이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오르면서 능력이 없는 저소득층이나 청년 등 청약 시장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온다.
나의 생각
이미 건설업게에서 공사비 인상, 자재 인상, 공사기간 연장, 금리 고공행진 등 악재가 끊이지 않던 상반기였다. 이런데 과연 신규 아파트 분양가가 낮게 책정이 될까? 전혀... 아니라고 생각이 든다. 이미 분양 경쟁률은 과열 양상이고 과연 청약으로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 물론 정책의 결정이 이해는 된다. 주택 청약 10만원으로 최댓값이 오랫동안 유지된 건 사실이나, 10만원에서 25만으로 2.5배 상승한 것은 일부 사회적 약자에게 큰 부담일 수 있다. 또한 청약 경쟁률이 지속되면서 신규 아파트보다 기존 아파트에 진입하는 게 더 경쟁력 있다고 판단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나 역시 아직 10만원에서 25만원까지 납입해야할까...? 라는 의문이 들긴 하다. 9월 달 신규 가입자 수와 전문가의 의견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경제신문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읽기] 20주차 (15) | 2024.09.01 |
---|---|
[경제신문읽기]18주차 (0) | 2024.08.11 |
[경제신문읽기16주차] (0) | 2024.07.28 |
[경제신문읽기]15주차 (2) | 2024.07.21 |
[경제신문읽기]14주차 (0) | 2024.07.13 |